서남아권역 | 태국  / Thailand

 

선교지 소개

태국 The  Kingdom  of  Thailand


 

 

정리 및 보고     진순곤/정덕엽 선교사(태국 주재 바울선교회 선교사)

1. 위치와 개관

인도차이나반도의 중심에 자리 잡은 태국은 많은 사람에게 사랑받는 관광지이고, 불교의 나라로 알려져 있다. 태국어로 태국은 “므앙타이”로, “자유의 도시, 자유의 나라”라는 뜻이다. 태국인들은 구속받는 것을 싫어하고 외국인들이 자유롭게 생활할 수 있는 나라이다. 태국은 과거 수 세기 동안 외국인들에게는 씨암(siam)으로 잘 알려져 왔다. 동남아시아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어서 수도 방콕은 사실상 동남아 지역의 문화적, 종교적 중심이 되고 있다. 긴 해안선을 가지고 있고 동쪽으로는 태국만, 서쪽으로는 안다만해를 끼고 있으며, 서쪽과 북쪽으로는 미얀마 국경, 북동쪽으로는 라오스 국경, 서쪽으로는 캄보디아 국경, 그리고 남쪽으로는 말레이시아와 국경을 이루고 있다.

 

태국의 네 지역

중부지역: 차오프라야 강의 비옥한 충적 저지를 포함해 전체 중 거의 3분의 1을 차지하고 있는 중부 가장 중요한 지역이다. 이 지역은 태국 역사의 핵심이며 이전의 수도 중 단 한 곳만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들은 차오프라야 강 유역의 기름진 곡창지대를 중심으로 왕국이 형성되어졌다.

북부지역: 인타논 산(높이 2,595m) 태국 최고봉이 있는 산림지대 코끼리들이 숲에서 일을 하고 겨울철 기온이 딸기나 복숭아와 같은 과일을 재배하기에 알맞다.

북동부지역(이싼지역):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청동기 문명이 번성했으며 주로 메콩(Mekong)강에 접하고 있다. 이싼 지역은 부족한 강수량으로 인해 메마른 지역으로 알려졌지만, 최근 몇 년 동안 비옥한 땅으로 바뀌고 있다.

남쪽 반도: 주석과 고무가 풍부한 말레이반도 위의 지역이고, 강수량이 높다. 

 

2. 태국의 국기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공식 명칭은 ‘The Kingdom of Thailand’이며 우리나라에서는 일반적으로 ‘태국’ 또는 ‘타이랜드’로 부르고 있다. 자국어인 태국어로는 ‘쁘라텟 타이’라고 부르며 ‘자유의 나라’라는 뜻이다. 국가명에서 보여주듯이 ‘자유’의 이념을 숭상하고 국가관이나 개인의 생활철학에 있어서 자유를 중요시하고 있다. 

국기에서 중앙의 청색 부분은 국가 지도자인 국왕을 의미하고, 다음의 흰색은 불교를, 제일 바깥쪽의 붉은색은 국민을 표현하며 국민의 피로써 불교를 정신적 바탕으로 하여 국왕을 수호하고 있는 태국의 현실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붉은색은 국민 (태국인의 피), 백색은 태국의 국교인 불교, 푸른색은 왕을 의미한다. 이 국기는 주로 공공기관이나 큰 기업체, 학교 등에서 국가와 함께 8시에서 저녁 6시까지 게양한다.

 

3. 기후

방콕 수도에서 자동차로 달리면, 북쪽 미얀마 구경까지 10시간, 남쪽 말레이시아 국경까지 13시간, 동쪽 캄보디아 국경까지 4시간, 서쪽 미얀마 국경까지 4시간이 걸리는 넓은 국토를 가지고 있다. 그래서 기후도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다. 대개 고온 다습한 아열대성 기후이며 기상 조건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은 열대 몬순 기류이다. 계절은 여름, 우기, 겨울의 3계절로 구분하며 강수량에 따라 우기와 건기로 양분하기도 한다. 보통 우기는 5~10월까지, 건기는 11~4월까지로 나눈다. 최근에는 이상기후 영향으로 우기의 시작이 조금씩 늦어지고 있다.

 

4. 시차

영국의 그리니치 표준시간보다 7시간 빠르며 한국보다는 2시간 늦다. (예/ 태국 10시-> 한국 12시)

 

5. 수도

- 외국어로는 ‘방콕(Bangkok)’이며, 현지 이름은 ‘끄룽텝마하나콘(끄룽텝)’ 이다 

- 의미: 천사의 도시, 모든 신들의 집 

- 인구: 약 1,500만 

- 주요 종교의식 장소: 새벽 사원(Wat Arun), 도시 기둥 사원(City Pillar Shrine), 기울어진 부처(Reclining Buddha) 사원, 금부처(Golden Buddha) 사원, 대리석 사원, 에메랄드 부처(Emerald Buddha) 사원, 왓 사켓(Wat Saket)

 

방콕은 ‘천사의 도시’라 불리는 태국의 수도이다. 옛날에는 ‘동양의 베니스’로 칭송받던 물의 도시였다. 방콕의 수많은 자동차와 인파, 소음은 결코 서울에 뒤지지 않는다. 전 인구의 10% 이상이 방콕에 집중되어 있으며 그 과열함은 만성적인 교통 체증과 경적 소리, 배기가스로 오염된 공기, 오염된 물로 더럽혀진 강 따위로 상징되고 있다. 방콕에서 빼놓을 수 없는 것은 불교 사원과 수산시장, 시내를 관통하는 차오프라야 강이다. 차오프라야 강은 남과 북을 S자형으로 800km를 흐르고 있는데 이 강을 중심으로  도시가 발전해 왔다. 천사의 도시라는 이름과는 어울리지 않게 방콕은 많은 문제들이 산재한 곳이기도 하다. 젊은 남녀들이 지방에서 일자리를 찾아 상경함에 따라 도시 인구는 급증하고 있고 주택난, 공중 보건, 교통난과 오염 문제, 빈민가와 매춘 등, 태국 정부가 이런 문제들에 맞서 싸우고 있지만 큰 실효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가장 큰 이유는 정치적인 불안정의 영향일 것이다. 70만이 넘는 매춘부는 최근에 등장한 10만의 매춘남과 함께 방콕의 밤을 물들이고 있으며, 200만 명 이상이 이 일을 통해 돈을 벌고 있다.

 

6. 인종

태국의 주 인종은 타이족이다. 타이족 외에도 많은 고대로부터 중국에서 이주해 온 중국계 태국인과 혼혈, 또 말레이계, 산지 소수 부족이 아울러 살아가고 있다. 북쪽 산지에는 ‘고산족’ 또는 ‘산지족’이라 불리는 ‘소수민족’들이 밀림 깊은 곳에 흩어져 살고 있다. 저들은 분명 태국과 미얀마, 라오스의 국경 안에 살고 있지만 태국인도 미얀마인도 라오스인도 아닌, 또 하나의 열방이요 민족이다. 자기들 고유의 언어와 문화 풍습, 전통이 있고 구전되어 오는 역사도 있지만 아직 나라가 없이 이곳 밀림에 흩어져 현대 문명과는 일정한 거리를 두고 살아가고 있다. 우리를 놀라게 하는 것은 고요하고 평화로워 보이는 이 메콩강 주변에서 전 세계 아편 물량의 60~70%가 조달되고 있고 그리고 아편의 대부분이 ‘소수민족’ 형제자매들에 의해 생산되고 있다. 4세기 동안의 가톨릭과 200년간의 개신교 사역에도 불구하고 기독교인은 전인구의 1%에 못 미치며, 그것마저도 대부분 북쪽 치앙마이 치앙라이 지역 산지 소수 부족 교회이다.

 

7. 태국 국가

국기 게양과 하강시 국가가 연주되며 1932년 프라 짼드리양(Phra Jenduriyang)교수가 작곡하고 루앙 싸라누쁘랏한 육군 대령이 1939년에 작사했다. 매일 오전 8시와 오후 6시가 되면 태국 전국의 공공시설, 공원, 광장, 텔레비전과 라디오 방송에서는 태국의 국가가 울려 퍼진다. 가사 내용은 다음과 같다. “태국은 태국인의 피와 몸의 조화로서 국가는 태국인의 것이고 태국인이 지킨다. 모든 태국인은 하나가 될 것이고 평화를 사랑하나 싸움을 두려워하지 않는다. 태국인은 아무에게도 자신을 위협하도록 허락지 않을 것이다. 우리는 국가를 위해 흘리는 한 방울의 피에 만족하고 자부심과 위명을 떨치는 승리로 국가에 봉사할 것이다.”

 

8. 정치 구조

1) 정부 

태국은 국가의 존경스러운 상징으로써 왕의 권력이 한껏 발휘되는 입헌군주제 국가이다. 현 국왕은 라마 10세 마하 와치랄롱꼰 국왕이다. 법적으로 수상과 내각, 왕이 임명한 상원과 선거로 선출된 하원의 대표들로 구성된 상하 양원제 입법부도 권력을 행사할 수 있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군대가 1932년에 시작된 입헌정부 후에도 간간이 국민의 일과 국가를 통치하는데 많은 영향을 발휘했다. 

 

2) 법원  

대법원, 민사 법원, 중앙 노동법원, 중앙 세제 법원, 중앙 가정법원, 상소 법원이 있다.

 

3) 경제와 정치

태국의 경제는 생산성이 높은 농업경제이다. 주요 수출품은 쌀, 설탕, 파인애플, 고무 등이다. 삼림 면적의 황폐로 가뭄과 홍수의 악순환이 계속되고 있다. 급속한 공업화와 지하자원 개발에 집중적인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정부는 이 나라의 최북서쪽에 위치한 ‘황금 삼각지’에서 마약 밀매를 근절시키려고 애쓰고 있다.

정치는 13세기 이후 왕국이며 서구 세력에 의해 한 번도 침략을 받은 적이 없다. 입헌 군주국으로서 대중의 인기를 얻고 있는 국왕이 강한 통일과 안정의 역할을 하고 있다. 강력한 군대가 60년간 정치와 상업을 지배하였다. 군 지도자들의 타락과 이기주의가 사회 각층으로 퍼져 범죄, 매춘, 마약 거래, 무리 밀매를 부추겼다. 1992년의 민주주의 요구 시위를 군대가 무력으로 진압하여 비난을 받았다. 이어진 선거로 들어선 민선 정부는 정치에 대한 군의 영향력을 감소시키고 부패를 척결하는 데 힘쓰고 있다. 지난 2006년부터 몇 차례 쿠데타가 발생하여 국민에 의해 선출된 총리를 해임했고, 군부에 의해 통치가 반복되었다.

 

4) 종교

태국은 불교가 국가종교이고 외국 종교는 군주제 아래 보호받고 있다. 종교 현황을 보면 불교가 93.4%, 회교가 4%, 중국종교가 1.6%, 기독교 1% 미만이다. 불교는 그들에게 종교라기보다는 하나의 삶 자체였다. 대부분의 태국인은 요담에서 무덤까지 불교와 관련되어 있다.

태국의 소승불교는 ‘테라바다 불교’라고 불리고 있는데, 특징은 ‘~하지 말지어다’라는 계율 불교이고, 개인주의적인 불교이다.

모든 관공서나 학교, 집마다 불상이 있고 어렸을 때부터 불교식 교육을 받는다고 한다. 태국도 국방의 의무가 있는데 만일 절에 가서 6개월간 봉사하면 국방의 의무가 면제될 정도로 불교에 호의적이다. 태국의 개신교 역사는 180년간이나 되지만 기독교인은 전인구의 1%에 미치지 않는다. 선교사님의 말씀이 한국은 복음이 들어오기 전부터 기다린 나라이고, 태국은 한 사람이 개종하기까지 18년이라는 시간이 걸릴 정도로 전도하기가 어려운 나라라고 하셨다. 워낙 불교가 깊숙이 스며있어서 다른 종교를 받아들인다는 것은 하나님의 특별한 섭리가 아니면 불가능한 나라이다. 기독교인구가 대략 10만~15만 정도 되는데 70%가 북쪽에 있고 그중에서도 산족이 80%를 차지한다. 철저히 복음은 심령이 가난하고 소외된 자들에게 한 줄기 빛임을 다시 한번 볼 수 있었다.

 

9. 태국의 간략한 역사

초기 태국지역 사람들은 중국의 남부지역에서 이주해 온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타이”라는 국명은 “자유”를 의미하는 태국어에서 유래한 것이다. 동남아에서 유일하게 이제껏 외세의 지배를 한 번도 받은 적이 없는 나라가 태국이다. 태국인들 정착 전의 태국 역사는 아직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 역사가의 관점에 따라 몬족(미얀마), 크메르족, 타이족 등에 의해 주인이 바뀌어온 땅으로 알려졌다. 일반적으로 타이족은 10세기경 중국 지역에서 이주해 온 것으로 본다. 13세기 크메르 왕국에 대한 반란이 성공한 후 1220년경 세워진 수코타이 왕국과 하리푼자야의 몬 왕국을 물리친 후 1296년경 일어난 치앙마이 왕국 등 2개의 타이 민족국가가 세워졌다. 1350년 수코타이 왕국을 무너뜨리고 세워진 아유타야 왕국은 15세기 초에 수코타이 지역을 완전히 흡수하고 무너져가던 크메르 왕국을 폐허로 만들었다. 1596년 아유타야 왕국의 가장 강력한 적이었던 미얀마(버마)인들이 아유타야군을 물리치고 수도를 점령했으며 15년 동안 아유타야 왕국을 지배했다. 1767년 미얀마인들이 다시 한번 타이 수도를 점령한 후 아유타야 왕조의 지배는 막을 내렸다. 1782년 차오프라야 짜끄리가 이끄는 짜끄리 타이 왕조가 권력을 잡게 되었다. 새 왕조는 초기에 수도를 강 건너 방콕으로 옮기고 라마 3세 때(1842~51) 남쪽으로는 말레이반도를 따라서, 북쪽으로는 라오스까지, 남동쪽으로는 캄보디아까지 영토를 넓혔다. 19세기 들어 군주들이 유럽 국가들에 이권을 주고 그들과 정치적인 관계를 맺게 됨에 따라 타이에 대한 서구의 영향력이 점점 커졌다. 타이 왕국은 1867년 캄보디아에 관한 권리를 프랑스에 양도했으며 쭐라롱꼰 왕 시대(1886~1910)에는 서구식 내정개혁 정책을 폈다. 19세기 말과 20세기 초에 라오스와 캄보디아 지방에 있던 속국을 양도했으며, 1917년 연합국 편에 가담해서 제1차 세계대전에 참전했다. 그 후 프라자디포크 왕(1925~35) 재위 시대에 쿠데타가 일어나 절대군주제가 무너지고 입헌군주제 정부가 세워졌으며 1939년에는 국가의 공식 명칭을 ‘씨암’에서 ‘타이’로 바꾸었다. 제2차 세계대전에는 마지못해 일본의 동맹국으로 참전했다. 타이의 안보가 인도차이나 전쟁과 베트남 전쟁, 전후 베트남군의 캄보디아 침공으로 잇달아 위협을 받게 되자 1932년 쿠데타가 일어나면서 군부의 지배가 시작되어 1950년대와 그 이후까지 계속되고 있다. 쿠데타가 일어난 1932년부터 지금까지 군주의 역할은 제한되고 군부가 지배하거나 군부의 영향을 강하게 받는 정부가 잇달아 들어서고 있다. 

 

1) 드라바티 몬왕국(550~1253) 

 후난 황제가 3세기 후 지배해 나콘빠톰이 수도였다. 675년 드라바티가 크메르황제하에 총독의 임기를 행사했다(11세기). 차오프라야 유역의 수로를 이용할 수 있는 농업의 가능성에 매료돼 쌀을 경작했던 태국인들은 11세기에 중국 남쪽에서 이주하기 시작했다. 12세기 초, 타이족은 북쪽의 ‘란나’, ‘파야오’, ‘수코타이’에 작은 왕국을 건설하기 시작했다. 1238년에 이르러서는 2명의 타이 지도자가 크메르 영주에 대항하여 반란을 일으켜 최초의 독립왕국인 ‘수코타이’(행복의 새벽) 왕국을 세웠다.

 

2) 수코타이 왕국(1238~1419) 

 향후 차오프라야강 유역을 따라 발전하게 되는 타이 왕국의 기초가 되었다. 태국의 국교인 테라바다 불교(Tehravada Buddhism)를 확립하고, 태국 문자의 발명, 미술, 조각, 건축과 문학 등 태국 예술 형성의 기틀을 마련한 시기이다. 수코타이 왕국은 치앙마이와 좋은 관계를 유지하였다. 1238년에 드라바티를 압도해 크메르를 병합해 통치할 수 있었다. 그러나 1300년경에 쇠퇴 일로를 걸으면서 결국에는 신흥 아유타야(Ayutthaya) 왕국의 종속국이 된다.

 

3) 아유타야 태국왕조(1350~1767)

 14세기에는 수코타이와 다른 그 밖의 작은 왕국들을 차례로 병합해 부와 권력의 중심지가 되었다. 1350년에 건립된 이 아유타야 왕국은 챠오프라야 강 남부 멀리까지 영토를 확장했다. 1767년 버마의 침략을 받기까지 태국 중심지의 역할을 했다. 포르투갈사절단 (씨암을 방문한 최초의 유럽인)이 1511년 도착했으나 동남아의 다른 나라와는 달리 태국은 결코 유럽의 식민지가 되지 않았다. 탁신 왕이 버마를 몰아내고 수개월 만에 타이왕국을 재건하였다. 

 

4) 방콕시대(1767~1932) 

버마인은 1767년 아유타야의 수도를 함락시켰다. 그래서 새로운 지역인 현재의 방콕의 차오프라야를 건넌 편 톤부리에 새 수도를 설립했다. 1782년에 이르러 짜끄리왕조의 초대 왕인 라마 1세가 차오프라야 강 유역의 방콕으로 천도하게 되었다. 현재의 왕궁은 이 기간에 2번째 왕이었던 챠크리 장군 때부터 내려온 것이다. 19세기에 완벽한 군주제 통치를 했던 몽쿳 왕(라마4세: 1851~68)이 태국을 근대화하기 시작했다. 그의 아들 쭐라롱콘 왕(라마5세: 1868~1910)이 노예제도 폐지와 철도 창시, 전보 서비스, 과학교육 등을 강하게 추진했다. 2차 세계대전 일본의 통치가 끝난 후 몇 차례 정권이 교체되는 혼란스러운 시기를 보냈다. 수상은 계속 교체되었지만, 짜끄리 왕조는 계속 이어지며 국왕은 국민들의 정신적인 지주가 되었다. 특히 라마 9세는 서거 전까지 국민들의 전폭적인 사랑과 존경을 받아왔었다. 태국은 한국과 오랜 우방 관계를 지속해 온 국가로 1949년 대한민국 정부를 승인, 한국 전쟁 때에는 유엔군의 일원으로 군대를 파견하여 1972년까지 한국에 주둔하기도 했다. 1959년에 정식으로 양국간 외교 관계가 성립되었고 1981년 양국간 사증면제협정 체결로 한국인은 비자 없이 90일간 태국에 체류할 수 있게 되었다.

 

5) 태국의 공휴일 절기 축제 소개 

1999년은 태국 왕의 72회 생일과 즉위 50주 년으로 다른 해 보다 왕을 위한 축제가 성대하게 연일 전국적으로 계속되었다. 태국의 공휴일은 불교와 연관이 깊으며 주로 음력을 기준으로 하고 있다. 

* 마카부차(Magha Puja) 3.1일 / 태국 전역

석가모니의 제자 1,250명이 사전 약속 없이 석가의 설법을 듣기 위해 한자리에 모인 날을 기념하기 위한 중요한 불교 공휴일로 주간에는 태국 전역의 사원에서 흥겨운 축제가 벌어지며 야간에는 사원의 주위를 세 번 도는 촛불 행진을 비롯한 여러 가지 다채로운 행사가 태국 전역의 사원에서 열린다.

* 송끄란 축제(Songkran Festival) 4.12~14일 / 태국 전역

태국 구력에 따른 정월로서 방콕뿐 아니라 여러 다른 지역에서도 종교적인 행사와 함께 만인이 즐길 수 있는 축제가 벌어진다. 거리로 나오는 사람들은 물벼락을 맞기도 하는데, 축복을 기원하는 뜻에서 행해지는 것이므로 한창 더운 시기에 물벼락을 한 번 맞아보는 것도 재미있는 경험이 될 것이다.

* 러이 끄라통(Bang Sai Loi Krathong Festival of Light) 11.20~22일 

태국 최고의 축제인 러이 끄라통 축제는 태국 전역에서 열리는데, 보름달이 뜨면 태국 사람들은 작은 연못 모양을 한 바나나 잎사귀 보트에 불 켜진 초, 향, 동전 등을 실어 강이나 수로로 띄워 보낸다. 이 축제는 고대 타이왕국의 수도였던 수코타이에서 기원했다고 전하며 이곳에서는 축제 기간 촛불전시 및 불꽃놀이, 민속 무용 공연과 퍼레이드가 펼쳐진다.

 

6) 태국어

태국어는 44자의 기본 자음(중자음, 고자음, 저자음)에 특유 자음, 이중자음 등과, 32자의 기본모음(단모음, 장모음)에 무형모음, 특유모음, 변형모음 등, 그리고 5개의 성조음(평성, 1성, 2성, 3성, 4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성조음이란 소리의 고저 및 굴곡을 말하는 것으로, 중국어(4개의 성조음)를 연상하면 이해가 쉽게 될 것이다. 문자의 수가 많고, 길고 짧은 장단의 모음, 높고 낮은 고저의 성조음이 있기 때문에 처음 태국어를 배울 때는 상당히 어렵게 느껴지지만, 문자 위주가 아닌 말 위주로 익혀보면 다양한 성조음의 변화에 재미를 느낄 수 있다. 특히 음에 대한 감각이 있는 사람은 쉽게 배울 수 있다. 

 

10. 태국의 기독교

태국의 기독교는 천주교가 1555년에 개신교가 1828년에 전래하여 455년 또는 182년이 되었다. 그러나 기독교인은 천주교와 개신교를 합하여 1% 정도이다.

 

1) 태국 기독교 역사

1.1 복음 전래기(1828~1832)

개신교의 처음 복음의 전래는 1828년 8월23일 구출라프(독일), 톰린(영국)에 의하여 시작되었다. 구출라프는 1832년 중국인 분띠에게 세례를 베풀었고 장로교 선교사는 1840년에 입국하여 19년 만에 첫 수세자를 획득하였다.

 

1.2 교회 성장기(1833~현재)

 

1.2.1 개척 시대(1833~1851)

이 시기에 미국 침례교회(1833/존 테일러 존스), 아메리칸 보드(1834/찰스 로빈손, 스테펜 존슨), 미국 장로교회(1840/윌리엄 피 부엘) 등이 입국하여 활동 하였다.

 

1.2.2 구축 시대(1851~1883)

1861년까지는 방콕지역에서 중국인을 상대로 활동하였다. 장로교회는 펫부리와 아유타야에 선교본부를 설치하였고 1867년에는 멕낄봐리선교사가 북부 치앙마이에 선교부를 설치하고 태국인과 라오스인을 상대로 활동하였고 1880년에는 카렌족 선교로 확장하였다. 선교 55년 후에는 476명(북부 100명, 남부 190명, 펫부리 110명, 카렌족 50명)의 수세자를 획득하였다. 이 시대에 쭈라롱꼰 왕에 의하여 1878년 종교의 자유(The Proclamation of King Chulalongkorn’s Edict of Religious Toleration)가 선포되었다.

 

1.2.3 대 성장 시대(1884~1914)

북부 맥낄봐리 선교사의 사역이 두드러졌는데(80% 차지) 1914년까지 26개처 교회에 6,934명의 결신자를 획득하였다. 그러나 방콕 및 남부 지역의 성장은 부진하였다.

 

1.2.4 성장 정지 시대(1914~1940)

이 시대에는 사역자들이 학교, 병원 등의 사역으로 나아갔기에 전도와 교회 개척 사역을 게을리하였다. 

 

1.2.5 핍박과 배교 시대(1941~1945)

이 기간은 제2차 세계대전 기간으로 신도들이 핍박에 굴복하여 기독교 신앙을 버렸는데 20~40%는 되었다. 기독교 인구는 10,000명에서 6,000명으로 감소하였다. 정부는 일본 정권하에서 선교사들을 억류하였다.

1.2.6 전후 성장시대(1946~1982)

제2차 세계대전 후 선교사들의 재입국과 기존 교인들의 열심으로 활발한 교회 활동이 일어나기 시작하였다. 태국 기독교총회는 1950년에 13,425명의 교인이 되었고 1978년까지 28,000명의 교인이 있게 되었다. 그러나 개신교 전체는 많은 선교단체들의 입국으로 활발한 선교 활동이 있게 되어 10%의 성장률을 보였으나 카렌족은 44%의 교회 성장률을 보였다.

 

1.2.7 미래 전망 시대(1982~2024)

이 시대는 태국 정부가 선교사 규제 조치를 취한 기간이다. 또한 1988년에는 태국교회들이 개신교협의회(The Coordinating Committee of Protestant Churches in Thailand)를 조직하여 교회 연합 운동을 시작하였다.

 

2) 태국 기독교 상황

2.1 기독교 단체별 상황

태국 정부는 5개의 기독교 단체를 허락하고 있는데 3개(천주교, 태국기독교총회, 태국복음주의연맹)의 대 단체와 2개(남침례교연맹, 안식교)의 소 단체가 있다.

 

2.1.1 태국 기독교총회(The Church of Christ in Thailand(CCT) 90 또는 67년)

1828년 서양선교사의 입국으로 태동하였다. 1831년 이후에는 미국의 장로교회, 침례교회, 회중 교회의 선교사들이 입국하여 활동하여 1934년(90년 전) 7개 노회 9,421명의 교인으로 싸이암 기독교회를 조직하였고, 1943년 태국 기독교회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그러나 안식교, 미국 남침례교, 태국 복음주의 계열은 조직에 가담하지 않았다. 1903년 영국교회5, 1951년 사도교회가 가입하였다. 5개 처(맥낄봐리신학교,방콕신학원)의 신학교육기관과 2개의 대학교(파얍대학교,태국기독대학교), 8개의 병원, 25개의 교육기관, 32개의 외국 선교단체가 있다. 장로교회로 운영되지는 않으나 장로교회의 모습은 보여주고 있다. 한국과의 관계는 1956년부터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의 파송 선교사인 최찬영, 김순일 목사를 시작으로 관계를 맺고 1971년에는 KIM 선교회, 1989년 이후에 현재의 합동총회 파송 선교사가 WPM(신홍식), KGAM(양덕훈)선교부의 이름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통합총회(조준형)선교사와 기성총회(김용식)선교사 등이 소속되어 활동 중에 있다.

 

2.1.2. 태국 복음주의연맹(The Evangelical Fellowship of Thailand(EFT) 55년)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많은 선교 단체가 태국에 들어와 활동 중이었다. 이들은 1956년 태국 기독교총회 조직 시에도 참여하지 않고 자유스러운 선교 활동을 전개하고 있었다. 그러나 정부의 관심과 단체 간의 연합 사업을 위하여 1969년(55년 전) 9월9일 태국복음주의연맹(The Evangelical Fellowship of Thailand)이라는 명칭으로 종교성에 기독교단체로 등록하여 천주교, 태국 기독교총회에 이어 3번째 기독교 단체가 되었다. 조직 당시에는 6개 외국 선교 단체뿐이었으나 1970년에 9개 처의 교회가 입회하였고 1971년에 2개의 국내 선교 단체가 가입하였다. 822명의 선교사 쿼타를 보유하고 있는데 1980년 이후에 태국에 설립된 외국 선교 단체는 선교사 비자 쿼타를 배정받지 못하고 있어서 다른 선교단체를 의지하여야만 한다. 한국교회는 1979년 예장합동총회가 정승회선교사를 태국에 파송하면서 EFT와의 관계를 수립하였고 한국 선교사로서는 최초의 완벽한 선교단체를 조직하게 되었다. 현재에는 대부분의 선교사가 이 단체에 소속되어있던지 주변에 있다. 바울선교회는 EFT 산하의 OMF와 협력하며 “쌈판” 교단에 속해있다.

 

2.1.3 태국 남침례교연맹(The Southern Baptist Convention 53년)

1949년 미국 남침례교해외선교부(Foreign Mission Board of Southern Baptist Church)가 태국에 선교사를 파송하면서 사역을 시작하여 1971년(53년 됨) 태국 침례교연맹을 조직하고 1977년에 종교성에 등록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으며 1개 처의 신학교육기관 1개 처의 병원 및 1개 처의 한센병원과 학생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현지 각 지역의 지교회와 신학교와 병원, 기관을 보유하고 있다.

결론

한국교회는 세계 선교를 위해 하나님으로부터 사명을 받았다. 한국 교회와 선교사의 선교적인 열정은 세계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선교지의 현장은 너무나 빠르게 변화하고 있지만, 선교사를 지원하는 한국 교회는 아직도 10년, 20년 전의 선교지에 대한 정보와 인식에 머물러 있다. 한국교회는 한국 사회의 빠른 변화에 적응하기 위해 애쓰는 것처럼 선교지의 변화에도 적응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것이 한국 교회와 선교지의 중간 역할을 하는 선교사의 고충이자 지혜가 필요한 임무이기도 하다. 한국인들의 생활양식 변화처럼 태국인들의 삶과 사고도 변화하고 있다. 힘든 노동을 기피하고, 결혼 연령이 점점 늦어지고, 자녀를 갖지 않으려고 하고, 인생을 즐기려는 풍조로 바뀌고 있으며, 태국 내에서 건설업이나 공장에서 힘든 노동은 주변국인 미얀마, 라오스, 캄보디아에서 온 근로자들의 몫이다. 그러나 아직 태국인들은 전혀 모르는 사람일지라도 쉽게 대화할 수 있을 정도로 인간관계가 열려있다. 최근 수년 동안 오순절 계통 교회들의 부흥 소식이 들려오고 있다. 현지 교회들 중심으로 교회 개척도 점점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방콕과 인접한 논타부리도에서는 지난 12년 전 30개 교회가 있었는데, 2024년 현재 60개 교회가 존재한다.  

 

하나님은 그분께 헌신된 자들을 통해 일하고 계시며, 태국에 추수의 때가 다가오고 있다.

 

 

< 기독교 인구와 교회 숫자 >

Total Villages

84,646

Population(with ID Card)

66,113,484

Total Churchs

8,524

Unreached Villages

79,503

Reached People

496,423

Calculated Church Size

58

Percent Unreached Villages

94%

Unreached People

65,617,061

Percent Christian

0.75%

 

 

태국 기도 제목

1. 현지인 목회자들 성령과 은혜와 진리가 충만하고 사명감을 가지고 사역하도록

2. 교회마다 전도의 열정이 일어나서 힘써 복음을 전하도록

3. 현지 교회를 중심으로 교회 개척 운동이 더욱 활발하게 일어나서

   태국의 모든 지역에 교회가 세워지도록

4. 바울선교회 소속 선교사님들과 소속 현지 교회들이 크게 부흥하고

   사역자 양성과 교회 개척 사명을 잘 감당하도록